일주일 내에 인사동을 이렇게 자주 방문한 적이 있었던가 싶었다. 같은 곳을 두 번 지나쳤는데 한 번은 바쁘다는 이유와 사람이 적다는 이유로 방문하지 않았었다. 두 번째 그곳을 다시 마주했을 땐, 시간적으로 여유가 있다는 것과 큐알코드를 찍는 직원들 앞에 줄 서 있는 사람들이 입구 쪽에 전시된 영상 앞에 바글바글거리는 모습에 나도 모르게 홀리듯이 전시장 안으로 발을 디뎠다.
2021년 7월 중순부터 말까지 진행이라고 했던 성남훈 작가의 전시전이라고 했다. 시기가 맞아서인지 8월의 아프가니스탄 상황때문인지 8월 말이 되어가는 시기까지 전시가 진행되고 있었다. 언제 마무리 짓는지는 모르겠지만 기회가 된다면 한 번 더 방문하고 싶다. 3층까지 올라가서 다 본 줄 알았는데, 옥상 루프탑에도 전시된 사진이 있었다는 건 확인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4층을 둘러봤을 때 위로 올라가는 곳이 없었던 것 같은데... 근데 다시 갈 일이 있을까. 그건 모르겠다.
사진전의 테마는 '부유하는 슬픔의 시'다. 프랑스 파리 사진 대학 이카르 포토에서 다큐멘터리, 사진 전공을 했다는 그의 이력이 큰 신뢰감을 줬다. 다큐멘터리의 속성을 알기 전까지 나는 다큐멘터리는 오로지 사실을 보여주는 공신력 있는 미디어의 한 장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다큐멘터리도 제작자와 편집자의 마음에 맞게 요리 조무르고 저리 조물러, 내용을 컨트롤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된 이후로는 다큐멘터리 베이스의 작품을 굳이 곧대로 믿지 않는 버릇 아닌 버릇이 생겨났다. 순수하든 불순하든 내 눈앞에 있는 다큐멘터리 형식의 영상이나 사진 등의 미디어는 결국 제작자의 의도가 다분히 들어가 있다는 것이다.
사진 한 장으로 그 사진을 바라보고 있는 사람의 마음을 감동시킨다는 것은 굉장히 어려운 일이다. 정교하게 짜여진 사각형 프레임에 작가가 원하는 구도, 물체, 시간에 따른 빛 등이 잘 맞아 들어갔을 때. 무엇을 의도했든 잘 짜인 작가의 판 속 감정이 독자들에게도 고스란히 전달되게 만들어야 하기 때문이다. 감정의 동요가 일치했을 때, 같은 방향으로 흘러갈 때 무덤덤한 심장의 박동수의 물결이 조금 일어날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감동의 동화에 초점을 맞춰 성남훈 작가의 '부유하는 슬픔의 시' 전시를 봤을 때, 나는 그런 감정 교화에 실패했다. 30년간 여행지로 권장되는 국가들이 아닌. 언제 내전이 일어나도 이상하지 않은. 그 장소에 있는 동안 내전이 일고 있어도 별날 것 없는. 그런 장소에서 위험을 감수하고 기록을 남기는 작업을 한 작가의 노고에는 아주 아주 큰 존경심과 경외심을 드러내는 바이지만, 내 마음속에 일렁이는 무언가를 느끼지 못했다.
전시장으로 연결되는 3층 입구에 바로 도달하게 되면 만날 수 있는 그의 대표작으로 추정되는 '루마니아 집시'. 바람에 흩날리는 갈대밭의 중심에 서 있는 꼬마 집시. 순수한 눈으로 정면을 바라보고 있는 그 모습에서 나는 어쩌면 나만의 편견으로 순수하지 못한 집시의 특성을 일반화해 이 작품을 왜곡하고 봤던 것 같다. 유럽에서의 집시라면 사실 남의 물건을 훔치거나 돈을 뻔뻔하게 구걸하는 것과 같은 행동으로 관광객에게는 불친절하고 성가신 이미지로, 경험으로 나에게 남아있기 때문일 수도 있다. 현실과 작품에서 나타나는 물체의 괴리감으로 인해 내가 작품을 작품 자체로 온전히 관람할 수 없었던 이유이기도 하다. 어린 소녀들의 집시라면 상황이 다를 수도 있을까. 글쎄. 잘 모르겠다. 오만하게 뻔뻔한 모습으로 자신의 상황을 수려하게 유리한 쪽으로 단번에 끌고 오는 것들이 그러한 사람들이니까. 내 편견이 이렇기에 작품을 바라본 내 마음에서 울렁이는 무언가를 느낄 수 없었던 것이었다.
그 외에도 꽤 많은 양의 사진들이 전시되어 있어서 관람하는 데 생각보다 많은 시간을 할애하기도 했다. 코테(Kote)는 처음 방문한 곳이었지만, 내부 건물의 구조가 흡사 외국의 갤러리에서 본 떠온듯하게 비슷하게 일치하면서도 전시장이 넓었다. 천장에서 태양광이 들어오는 구조로 낮시간에 관람하는 작품들에게 자연조명을 선사해주는 훌륭한 곳이었다. 코로나로 오랜만의 나들이었지만 좋은 전시들을 우연히 무료로 관람할 수 있어서 뿌듯한 시간이었다.
'문화와 관련한 모든 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주도 오름에 사로잡혀 한 평생을 제주에서 살다간 김영갑 갤러리 리뷰 (0) | 2021.12.02 |
---|---|
닥터후 시즌3 1회 Smith and Jones 달로 떠나버린 2007년의 닥터와 인간들 (0) | 2021.11.12 |
엘에이 구겐하임 미술관을 닮은 제주 왈종 미술관 (0) | 2021.10.08 |
잉여들의 히치 하이킹 :: 도전을 위해 도전을 하는 청춘영화 (0) | 2020.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