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가을 늦장마로 비가 하루 종일 내리는 오후였다. 비가 오는 날에 국물이 땡기는 어쩔 수 없는 한국인의 특성상 국물 있는 음식이 당겼다. 때마침 우육면이 땡겼는데 대만 현지에서 먹었던 홍콩식 느낌의 매콤한 맛은 한국에서 잘 찾아볼 수가 없었다. 두 번째 대안으로 탕탕면을 찾아봤는데 생각보다 가격이 쎄서(만원이 넘어가는 가격), 동네 근처에 있는 마라탕 집에 가서 마라탕을 먹어보기로 했다.

 

 

마라탕이 한국에서 본격적으로 유행의 궤도에 오르기 시작했을 때가 2017년 즈음인걸로 기억한다. 유행이 정점에 오르고 있을 때, 국내에 있지 않았기에 마라탕의 인기를 사람들이 적어놓은 리뷰나 유튜브에 올라온 맛 평가만으로 간접체험을 해야했다. 매운 걸 잘 먹지 못하기도 해서, 매운맛이 중독적인 게 특징이라는 이 마라탕에 큰 관심을 쏟지 않은 것도 한 몫했다. 몇 년의 공백을 해외에서 보내고 한국으로 돌아왔을 때는 마라탕 가게의 위생문제가 뉴스에서 한창 떠들썩거리고 있었다. 그 위생문제는 한국에 돌아가면 한 번 먹어볼까 하고 궁금증을 품고 있던 내 마음의 씨앗을 짓밟아 버리기도 했다. 워낙에 유행하는 음식, 디저트 빵, 음료수가 순식간에 우르르 생겼다가 한 번에 와다다닥 빠지는 경향이 있어 마라탕도 곧 그렇게 될 거라고 생각했는데 아직까지도 건재하고 있는 곳들이 있는 걸 보면, 한국인들의 마라탕 사랑이 대단하다는 것을 느낄 수 있다.

 

 

우육탕, 탕탕면 파는 괜찮은 집을 찾지 못해 처음으로 시도해본 마라탕. 뷔페식으로 채소와 토핑을 원하는 만큼 그릇에 담아 계산해서 먹는 곳이었다. 좋아하는 청경채랑 다른 야채를 듬뿍 담아 계산대로 향했다. 고기 같은 건 따로 없나 궁금했는데, 직원분이 양고기로 할 건지 소고기로 할 건지 고르라고 해서 소고기를 추가했다. 면은 없어도 되냐고 하길래, 그게 무슨 말이냐고 했더니 따로 나오는 면이 없다고 했다. 채소 담은 데서 면도 함께 담아가지고 와야 한다고 했다. 오늘의 목표는 얼큰한 국물에 면을 먹는 거였는데, 면이 없는 음식이라니. 당연히 용납할 수 없는 일이었다. 이미 야채가 볼에 가득 차 있어 욕심부리지 않고 노란 옥수수면 한 뭉탱이와 당면을 추가했다. 중국 당면 한 줄도. 건두부는 따로 집어넣지 않았다. 추가로 이것저것 더 추가해 만원 정도 결제가 됐다.

 

 

처음 먹어본 마라탕

 

 

비가 후두둑 쏟아지는 풍경을 바라보며 먹는 마라탕은 꽤 분위기 있고 좋았다. 먹다 보니 면이 모자란 감이 있어 아쉽긴 했지만. 고기도 먹어본 사람이 더 잘 먹는다고, 첫술에 배부를까 싶었다. 자주 사 먹을 것 같은 느낌은 아니었지만, 마라탕을 좋아하는 친구는 시간이 지날수록 그 맛이 생각나는 특징이 있다고 했다. 짬뽕의 얼큰함과는 다른 매콤함이었다. 기름에 볶은 고춧가루 소스가 코끝을 컹하고 막히게 한다. 맨 처음 국물 한 스푼을 들고 목으로 넘겼을 때, 가슴 쪽에서 킁하고 매운맛이 쏴하게 올라왔다. 이런 국물 음식에 들어가는 채소를 개인적으론 폭 고아서 먹는 걸 좋아하는데, 물에 잠깐 들어갔다 나온 듯한 채소들의 아삭한 상태가 조금 아쉽긴 했다. 뜨거울 때 채소 건더기와 면을 먹으면 그 맛을 더 생생하게 느낄 수 있다. 시간이 지나면 국물이 차가워지고 국물 위쪽으로는 고추기름이 둥둥 뜨게 된다. 그러면 느끼한 맛이 조금 강하게 느껴져서 별로다.

 

 

'옷. 나 오늘 마라탕 땡긴다.'라고 생각하는 마인드를 갖기까지는 시간이 오래 걸릴 것 같다. 그럼에도 분명히 마라탕의 끝 맛에서 혀에 남아있는 얼얼함에, 그 얼얼함을 즐기고 싶어 이 음식을 찾는 사람이 많고 중독 비슷한 체험을 하는 게 아닐까 싶다.

 

 

 

 

728x90
반응형
LIST

+ Recent posts